1.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의 문서화

1) 개요

통제목표
  • 재무보고 목적 달성을 위해 각각의 통제가 기여하는 부분(자산의 보호 및 부정방지 포함)
  • 위험: 통제목표가 달성되지 않을 경우 재무제표 왜곡표시를 야기할 수 있는 가능성
통제활동
  • 통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(또는 위험을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감소하기 위해) 경영진이 수립한 정책이나 절차, 기법 및 체계
  • 회사 일상 업무의 일부가 되어야 하며, 개별 통제목표에 따라 그 형태 및 세부 운영수준은 다를 수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통제활동은 정보처리과정의 통제, 물리적 통제, 성과지표의 분석, 업무의 분장 등이 있음.
관련 계정과목 및 경영자 주장
  • 통제목표/통제활동과 관련된 재무제표 상 계정과목 또는 주석정보
  • 통제목표 또는 위험과 함께 동 계정과목에 대한 경영자 주장을 문서화 내용에 포함
  • 재무제표에 대한 경영자 주장(실재성, 권리와 의무, 발생사실, 완전성, 평가, 측정, 재무제표 표시와 공시) + 자산의 보호, 부정방지 등 포함
통제의 속성(유형 및 빈도)
  • 통제속성은 운영 효과성 평가의 방법 및 범위를 결정하는 요소임
  • 통제유형
    • 1) 자동화된 통제 vs.수작업 통제 vs. IT기반 수작업 통제
    • 2) 예방통제 vs. 적발통제
      • - 예방통제: 재무제표의 왜곡표시를 야기하는 오류나 부정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통제활동 (예: 거래의 사전 승인, 자산에 대한 물리적 접근통제, 전산시스템에의 논리적 접근통제, 업무분장 등)
      • - 적발통제: 이미 발생한 오류나 부정을 적시에 발견하기 위한 통제 (예: 중간관리자의 검토, 실물자산 실사, 매출채권/은행거래 조회 등)
      • → 효과적으로 설계된 내부회계관리제도에는 각 업무프로세스별 통제목표 달성을 위한 예방통제와 적발통제가 적절히 결합되어 있어야 한다 (모범규준 문단 48).
  • 수행빈도
    • - 실제 업무에서 통제활동이 수행되는 주기 또는 빈도 [일별 수시 (more than daily), 일별, 주별, 월별, 분기별, 반기별, 연간, 수시 (event driven) 등]
    • - 거래규모, 거래 또는 통제의 속정, 인력구성 등을 고려하여 경영진이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나, 부정이나 오류에 의한 재무제표 왜곡표시를 적절히 예방 또는 적발하기에 충분한 빈도 또는 주기로 수행되어야 한다